관세를 물어야 할 뜻
- 벌주어야 할: 벌줄 수 있는
- 잊어야 할: 잊기 쉬운
- 죽어야 할 운명: 사망자수
- 기소되어야 할: 보호를 받아야 할; 부과 되어야할; 고소되어야할; 후불할 수 있는
- 어야: -어야[어미]〔끝 음절의 모음이 음성모음인 어간과 '-았-/-었-' 따위에 붙어 쓰이는 어미의 하나.〕1 조건으로 삼음을 나타냄.* 먹~ 산다.*땅이 넓~ 한다.*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~ 보배다.*좀 더 기다렸~ 했는데.*[참고] -아야.*-여야.*-라야.2 '-ㄴ들/-은들'과 비슷한 양보적인 뜻을 나타냄.* 울~ 소용없다.*늦~ 하루 이틀이다.*길~
- 관세: I 관세1 【關稅】[명사]《법률》 국경 또는 특정 지역의 경계선, 곧 관세선을 통과하는 상품에 대하여 부과하는 세금. = 통관세.I I 관세2 【觀勢】[명사]형세를 살펴봄.[파생동사] 관세-하다
- 할: I 할1 【喝】[명사]《불교》1 선종에서, 말이나 글로 나타낼 수 없는 도리를 보이는 소리.2 사견(요사스러운 생각이나 바르지 못한 의견)을 꾸짖어 반성하게 하는 소리.I I 할2 【割】[명사][의존]10분의 1을 일컫는 말.* 10분의 5는 5~이다.*[참고] 푼 6.*리2 1.*모9 .
- 물어미: 물-어미[명사]물을 맡아 긷는 계집종.
- 저물어: 밤늦도록; 작고한; 요전의
- 어야지: -어야지[어미]('-어야 하지'의 준말로)1 어떤 사실을 조건적으로 강조함을 나타내는 반말의 서술형 또는 의문형 종결어미.* 어른의 말씀을 들~.*실력이 있는 사람이~.2 어떤 정도를 강조할 때 쓰이는 반말투의 서술형 종결어미.* 넓어도 여간 넓~.*[참고] -아야지.
- 관세사: 관세-사【管稅司】[명사]조선 고종 32(1895)년에 탁지부에 설치하여 조세 따위의 세입의 징수를 관리하던 관청.
- 관세음: 관음
- 관세표: 요금; 요금표
- 차별 관세: 차별의; 특징의; 차동장치; 미분; 협정 임금차
- 속세를 떠난: 세상을 등진; 수도원같은; 연구에 몰두하는; 소도사의; 컨벤추얼회의; 회랑이 있는; 수도원의; 수도원처럼; 금욕적으로; 수녀
예문
- 한미 FTA에 따라 관세 혜택을 받는 삼성과 달리 애플은 중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를 물어야 할 상황이라 이를 면제해줬다는 취지다.